-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가입 기준(누가 내는 걸까?) 목차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자세히 알아볼까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가입 기준에 대해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는 직장에 다니지 않아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는 사람들에게 부과되는 보험료를 말해요. 쉽게 말해서, 직장인이 아닌 사람들이 내는 건강보험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월급 소득에 따른 건강보험료 계산하기
1.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누가 내야 할까요?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배우자, 직계존속/비속 등)가 아닌 사람
👉1인 사업자, 프리랜서 등 직장에 다니지 않는 사람
👉은퇴자, 연금소득자 등 소득이 있는 사람
2.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어떻게 계산될까요?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는 크게 소득, 재산, 자동차 등 이렇게 3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1)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이자/배당소득, 연금소득 등 모든 소득을 합산하여 계산해요.
2)재산: 주택, 토지, 건물 등의 부동산과 자동차, 선박 등의 재산을 합산하여 계산해요. (60등급 기준표로 나눔)
60등급 재산 기준표 확인3)자동차: 자동차의 배기량, 연식 등을 고려하여 계산해요. 다만, 차량 가액이 낮거나 경차, 9년 이상 된 자동차 등은 제외될 수 있어요. (2024년 2월부터 부과 폐지되었습니다)
3.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너무 많이 나온다면?
보험료 조정 신청: 소득이 줄거나 재산을 처분한 경우, 가족 구성에 변동이 생긴 경우 등에는 보험료 조정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보험료 조정 신청하기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경감제도: 저소득층, 장애인, 국가유공자 등을 위해 보험료를 경감해주는 제도도 마련되어 있어요.
4.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어디서 알아볼 수 있을까요?
👇아래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콜센터에서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콜센터: 1577-1000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는 개인의 상황에 따라 계산 방식이나 납부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콜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