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업급여 근무일수 계산기 사이트 2곳 추천(6개월,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목차
실업급여 근무일수를 계산하는 것은 실업급여 수급 자격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실업급여 수급자격은 피보험단위기간이 180일이상 이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하지만 6개월 근무했다고 해서 180일이 된다고 할 수 없는데요. 실제근무일 180일과 피보험단위기간 180일이 다르기 때문에 계산기가 필요합니다. 아래에서 실업급여 근무일수 계산기 사이트를 알려드리오니, 해당 사이트에서 입사일, 퇴사일, 주 몇일인지 입력하면 실업급여 탈 수 있는 조건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실업급여 근무일수 계산기 사이트
예를들어 입사일자 2023-01-01, 퇴사일자 2023-06-30, 주5일로 계산하기 했을 때, 재직일자는 180일이고 실업급여 기준(피보험단위기간 180일)은 2023-07-30이 됩니다. 따라서, 2023년 1월 1일 ~ 2023년 7월 30일까지 근무해야 딱 180일 근무일수를 채우게 되는 것입니다. 근무기간 중간에 무급휴일이 있다면 실업급여 기준 기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참고로 주5일 근무자라면 입사일로부터 30주가 되는 날이 근무일수 180일이 되고, 주6일 근무자라면 입사일로부터 180일이 되는 날이 근무일수 180일이 됩니다. 하지만, 계산기에서 알려주는 기준일자는 최소한의 날짜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고 넉넉하게 8개월정도 잡으셔야 됩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해주시면 실업급여 근무일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고용보험 홈페이지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모의계산 해보기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을 입력하고, 최근 3개월간의 계산기간을 입력하면 근무기간이 자동계산됩니다.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계산기이므로 신뢰가는 계산기로 추천드리고 있습니다.
▼아래 사이트로 이동해주시면 실업급여 근무일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실업급여 근무일수 계산기 사이트 2곳 추천드렸습니다. 실업급여 조건에 해당되시는 180일 기준을 충족하셔서 재취업하는 기간에 수당 챙겨가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