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 절차 삼일장 진행 쉽게 정리

2021년 06월 21일 by NewsAdmin

삼일장 장례식 절차


장례절차 삼일장

장례식을 치룰 때 3일 장을 치루죠. 각각 1일차, 2일차, 3일차에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장례 절차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장례 1일차


1. 임종

마지막 숨이 넘어가는 것을 말하며 운명이라고도 합니다.

2. 수시

*자택에서 하는 경우
수시는 친척이나 친지 중 범절에 밝은 분이 하도록 합니다.
눈을 곱게 감도록 쓸어 내리고 팔다리를 매만져 가지런히 합니다.
손발이 굽어지지 않게 곧게 펴서 남자는 왼손을,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하여 배 위에 가지런히 올려 놓고 두 다리는 똑바로 모아 백지나 붕대로 묶습니다.
머리에서 발긑까지 흰 천이나 혹은 희고 깨끗한 홑이불로 덮습니다.
수시가 끝나면 병풍이나 검은색 휘장으로 가리고 그 앞에 고인의 (영정)사진을 모시고 양쪽에 촛불을 켜고 향을 사릅니다. 이때는 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르지 않습니다.
고인을 모신 방은 차게 하며 방을 비우지 않도록 합니다.

3. 발상

상이 났음을 외부에 알리고 상례를 시작합니다.
유가족은 흰색이나 검정색의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으며 귀걸이나 목걸이 등 치장을 하지 않습니다.

4. 장례방법

가족장, 단체장, 기타 고인의 사회적 지위나 활동, 유언에 맞추어 정하고 혹은 종교적 예식으로 할 것인지의 여부 등을 결정합니다.
화장 및 매장 여부를 결정하고 화장일 경우 화장장의 예약관계, 매장일 경우 묘지 등을 결정합니다.
부고대상 및 방법(이메일, 신문, 전화, 전보, 서신 등)을 정합니다.
장례식장, 상조회사 등을 통해 장례방법 절차 등에 대해 상담 및 자문을 받습니다.(염습시간(입관), 제례절차, 장지관련(매,화장), 발인, 접대 식음료, 꽃 장식, 조화주문, 장례용품, 영구차예약 등)

5. 부고

고인과 유족의 친지나 친척, 지인, 단체(회사) 등에 알립니다.
부고에는 장례식장 및 연락처, 장례기간(안치~발인일)과 장지를 포함하도록 합니다.

 


장례 2일차


 

1. 염습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어 수의를 입히는 것으로 입관 전에 행하는 절차입니다.
전통적으로 향나무나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결하게 씻기었지만 근래에는 알콜 소독된 솜 또는 거즈를 사용합니다.

2. 반함

전통적으로는 고인의 입에 불린 생쌀을 버드나무 숟가락으로 좌, 우, 중앙에 각각 1숟가락씩 넣고, 동전이나 구멍이 뚫리지 않은 구슬을 넣어 주고 망자가 먼 저승길을 갈 때 쓸 식량과 노자돈이라 여겨 행하지만, 현대적 장례에서는 생략하는 추세입니다.

3. 입관

시신을 관에 모실 때는 시신과 관 사이에 깨끗한 보공(백지나 마포, 삼베, 혹은 고인이 입던 옷 중에서 천연섬유의 옷을 골라 둘둘 말아) 넣어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고인의 유품 중 염주나 십자가, 성경 등을 넣어 드리기도 합니다.
화장일 경우에는 관에 부장품 넣어 드리지 않습니다.(대기 환경오염/화장장 규제)

4. 영좌설치

고인 앞에 병풍이나 검은 휘장을 치고 그 앞에 영좌를 설치합니다.(전통 상례)
영좌란 고인의 사진이나 혼백을 모셔 놓은 자리로 사진(영정)에 검은 리본을 두릅니다.
제사 위에 영정을 모시고 영정 양 옆으로 촛불을 밝힙니다.
제상 앞에는 향탁을 놓고 향을 피웁니다.
영좌의 앞에 문상개을 맞을 자리를 마련하고 옆에 사주자리를 깝니다.
상주의 자리는 거친 자리로 까는데 그 까닭은 죄인이라 초토에 몸을 둔다는 뜻으로 문상객을 맞는 상주들이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5. 성복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으로 상주(상제, 고인의 배우자, 직계비속)와 복인(고인의 8촌 이내의 친족)은 성복을 합니다. 전통적인 상복으로 굴건제복을 입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현대에 와서 이를 양복으로 입습니다.

 


*남자의 경우
무늬가 없는 흰 와이셔츠에 검정색 양복을 입고 검은 넥타이를 맵니다.
- 검정색 양말과 구두를 신습니다.
- 평상복 : 부득이한 경우 평상복을 입는데 이때에는 점잖은 색(검정색 계통)으로 입고 왼쪽 가슴에 상장이나 흰 꽃을 달고 두건을 씁니다.  
- 완장은 삼베로 만들어 졌으며, 검은색의 줄이 그어져 있는데, 당원 장례식장에서는 두 줄과 한 줄 그리고 무줄이 있습니다.
- 두줄 : 아들과 사위, 아들이 없을 시에는 장손이 착용합니다.
- 한줄 : 기혼인 복인(반드시 상복을 입지 않고 완장만 착용을 해도 복인이 됩니다.)
- 무줄 : 미혼인 복인(주로 손자들이 착용하게 됩니다.)
- 복인은 부계 8촌, 모계 4촌까지로 합니다.
- 완장의 사용시기는 정확하지는 않으나, 가정의례준칙이 나오면서 굴건제복 대신 상주임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가 되어 직계과 비속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으로 줄을 넣고 넣지 않음으로 구분하게 되었습니다.

*여자의 경우
- 흰색 치마저고리를 입고 흰색 버선(양말)과 흰색 고무신을 신습니다.(종교적 및 기호에 따라 검정색 한복을 입습니다.)
- 양장을 할 경우에는 검정색을 입으며 양말이나 구두도 검정색으로 통일하는 것이 좋습니다.
- 무명천으로 만들어진 머리 핀을 말한다.
-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습니다.
-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머리 부분에 리본을 꽂습니다.
- 상복을 입는 기간은 장일까지 하되 상제의 상장(리본)은 탈상까지 합니다.

6. 문상

- 성복이 끝나면 문상을 받습니다.
- 상주 및 유족은 근신하고 애도하는 마음으로 영좌가 마련되어 있는 방에서 문상객을 맞이하며, 문상객이 들어오면 일어나 곡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입니다.
-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전통의식에서 문상객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지만, 간단히 고마움을 표하는 것도 좋습니다. 상주는 영좌를 모신 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므로 문상객을 일일이 전송하지 않아도 됩니다.

 

장례 3일차



 

1. 발인

- 관을 이동할 때는 항상 머리 쪽이(종교적 차이가 있음) 먼저 나가야 합니다.
- 천주교는 하반신부터 나갑니다.

*종교의식
- 일반제 : 발인제(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물을 차리고 제사를 올리는 의식)
- 기독교 : 발인예배
- 천주교 : 출관예절 > 발인미사

2. 영결식

- 고인의 신분에 따라 가족장, 단체장, 사회장, 종교행사 등으로 하는데 단체장이나 사회장의 경우 장의위원회가 구성되어 주재합니다.(종교행사일 경우 그 형식에 따릅니다.)

3. 운구

- 발인제가 끝난 후 영구를 장지까지 영구차나 상여로 운반하는 절차입니다.
- 영구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영정, 명정, 상주 및 유족, 문상객의 순으로 승차하고, 상여의 경우 영정, 명정, 영구(상여)가 앞서고 상주가 따르며 문상객이 따릅니다.

4. 하관

- 영구를 광중에 넣는 것을 말합니다.
- 하관 때에는 상주와 복인이 참여하되 곡은 하지 않습니다.
- 관을 수평과 좌향을 맞추어 반듯하게 내려 놓고 명정을 관 위에 덮습니다.
- 횡대를 가로 걸친 후 상주는 흙을 관 위에 세 번 뿌립니다.

5. 성분

- 평토 : 취토가 끝나면 석회와 흙을 섞어 관을 덮는 행위입니다.
- 봉본 :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 잔디를 입힙니다.
- 지석 : 봉분이 끝나면 지문을 적은 지석을 묘의 오른쪽 아래에 묻는 행위입니다.
- 봉분이 유실되더라도 누구의 묘인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위령제 및 성분제
- 성분이 끝나면 요소 앞에 영좌를 모시고 간소하게 제수를 차린 뒤 고인의 명복을 빌고 영혼 위로하는 제사를 올립니다.
- 화장을 했을 경우에는 영좌를 유골함으로 대신하여 제를 올립니다.
- 축문 : 전통방식과 현대식이 있습니다.

*현대식 축문인 경우
- 년 월 일 (00)는 (아버님) 영전에 삼가 고하나이다. 오늘 이 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시고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 년 월 일 남편(00)은 당신의 영 앞에 고합니다. 이 곳에 유택을 마련하였으니 고이 잠드소서 길이 명복을 누리소서

6. 반우제

- 장지에서 위령제가 끝나면 상제들은 영위를 모시고 집으로 돌아와 그 날 영혼을 집에 맞아 들이는 의식이며, 이를 반우제 또는 초우제라고도 합니다.
- 반우제는 제물을 생략하고 배례나 묵도로 대신하여도 되고 이로써 삼일 장례는 끝나게 됩니다.

반응형